컴퓨터 조립에서 **파워서플라이(PSU)**는 뒷전으로 밀리기 쉬운 부품입니다. 하지만, 저는 예전에 **비정격 500W 파워**를 사용하다 **컴퓨터가 갑자기 꺼지고, 데이터 손실까지** 당한 적이 있습니다. 그 후로, 파워 선택만큼은 철저하게 공부하고 고릅니다. 오늘은 저처럼 피해를 당하지 않도록, **파워 선택법**을 쉽게 풀어드릴게요.
💡 한줄 요약: 파워는 컴퓨터의 심장! 정격 파워 + 용량 계산 + 효율 등급 확인 필수!
1️⃣ 파워서플라이의 역할 – 전기 공급의 핵심
PSU는 모든 부품에 전력을 공급하는 부품입니다. 성능 좋은 CPU, 그래픽카드도 파워가 부족하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요. 특히 고사양 PC일수록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필수입니다.
2️⃣ 정격 vs 비정격 – 절대 헷갈리지 마세요!
⚠️ 비정격 파워의 함정
표기만 ‘600W’고 실제 출력은 **400W 수준**인 제품들이 많습니다. 이런 파워는 과부하로 인해 **꺼짐, 재부팅, 심지어 부품 손상**까지 유발합니다.
✅ 정격 파워란?
**표기된 출력 그대로 안정적으로 제공**하는 파워입니다. 예: 정격 600W 파워 → 실제 600W까지 안정 공급 가능.
⚠️ 팁: 비정격 제품은 **절대 피하세요**. 가격이 싸다고 구매하면 오히려 손해입니다!
3️⃣ 파워 용량 계산 – 내 PC에 맞는 와트(W)는?
용량 계산은 어렵지 않습니다. 아래 공식으로 간단하게 계산해보세요.
- 기본 공식: CPU 소비전력 + GPU 소비전력 + 기타 부품 100W 여유
- 예시: Ryzen 5 5600(65W) + RTX 3060(170W) → 총 335W + 여유 100W = 최소 450W 이상
💻 제 조립기 기준:
- CPU: Intel i5-12400 (65W)
- GPU: RTX 4070 (200W)
- RAM, SSD, 쿨러 등 기타: 50W
- 총합: 315W → 정격 600W 파워 선택
4️⃣ 효율 등급 – 80플러스 인증 꼭 확인!
효율 등급은 **전력 낭비를 줄이고 전기요금을 아끼는 지표**입니다. 80% 이상의 효율을 제공하는 제품에 80 PLUS 인증이 부여됩니다.
등급 | 효율 | 추천 용도 |
---|---|---|
Standard | 80% | 사무용 PC |
Bronze | 82~85% | 일반 가정용 |
Gold | 87~90% | 고사양 게이밍 |
Platinum | 90%+ | 하이엔드 시스템 |
✅ 파워서플라이 추천: 마이크로닉스 Classic II 600W, 시소닉 Focus Gold 750W – 안정성, 정숙성 최고!
5️⃣ 기타 고려사항 – 케이블, 소음, AS
- 🧵 모듈러 방식: 케이블 정리 편리함
- 🔇 저소음 설계: 팬 소음도 체크!
- 🔧 AS 기간: 5년 이상 제품 추천
🔚 마무리 – 파워서플라이는 '절대' 아끼지 마세요
파워는 눈에 잘 띄지 않지만, 모든 부품의 **생명줄**입니다. 저는 정격 파워로 바꾸고 난 뒤, 컴퓨터가 훨씬 **조용하고 안정적**이라는 걸 느꼈습니다. "파워는 절대 과하다 싶을 정도로 고르자"가 제 철칙입니다.